2024.06.07 (금)

  • 구름많음동두천 16.3℃
  • 맑음강릉 20.1℃
  • 구름조금서울 18.5℃
  • 구름많음대전 16.2℃
  • 맑음대구 16.5℃
  • 박무울산 15.7℃
  • 구름많음광주 18.7℃
  • 맑음부산 17.6℃
  • 구름많음고창 16.0℃
  • 제주 19.2℃
  • 구름많음강화 16.1℃
  • 구름조금보은 14.0℃
  • 구름많음금산 13.6℃
  • 흐림강진군 17.0℃
  • 맑음경주시 15.4℃
  • 구름조금거제 15.3℃
기상청 제공

교육일반

한국 현대시 400선 이해와 감상

8. 오다 가다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8. 오다 가다

 

                                                       -김억

 

 

오다 가다 길에서

만난 이라고

그저 보고 그대로

갈 줄 아는가.

 

뒷산은 청청(靑靑)

풀 잎사귀 푸르고

앞바단 중중(重重)

흰 거품 밀려 든다.

 

산새는 죄죄

제 흥(興)을 노래하고

바다엔 흰 돛

옛 길을 찾노란다.

 

자다 깨다 꿈에서

만난 이라고

그만 잊고 그대로

갈 줄 아는가.

 

십 리 포구(十里浦口) 산 너먼

그대 사는 곳

송이송이 살구꽃

바람과 논다.

 

수로 천 리(水路千里) 먼먼 길

왜 온 줄 아나.

예전 놀던 그대를

못 잊어 왔네.

 

(『조선시단』 창간호, 1929.11)

 

 

<이해와 감상>

 

이 시는 산수(山水)와 조화된 한국인 특유의 인정미를 7・5조의 가락을 빌어 노래하고 있다. 그리움을 노래하는 시들이 대체로 애틋하고 침울한 분위기를 띠는 데 반해, 이 시는 경쾌한 3음보 리듬을 바탕으로 아름다운 자연과 시적 화자의 정감이 어우러져 오히려 밝고 정겨운 느낌을 주고 있다.

 

이 작품의 기본 정서는 다분히 한국적으로 자연과의 합일과 과거 속으로의 회귀 욕구가 담담한 독백체 어투로 잘 나타나 있다. ‘옷깃만 스쳐도 인연(因緣)’이라는 말이 있듯이 인연을 중시하는 한국인의 심성 구조가 그대로 투영되어 있는 이 작품에서 시적 화자는 ‘오다 가다 길에서 / 만난 이’를 못 견디게 그리워한다. ‘자다 깨다 꿈에서’까지 만날 정도로 정든 그 사람이, ‘짙어가는 풀잎’처럼, ‘밀려오는 파도’처럼 그리워 시적 화자는 마침내 ‘십리 포구 산 너머’ 그를 찾아 나선다.

 

시적 화자는 그와의 인연을 ‘그만 잊고 그대로 / 갈’ 수 없는 소중한 것으로 생각하면서도 겉으로는 ‘청청’・‘중중’・‘죄죄’와 같은 음성 상징어와 청백(靑白)의 대비를 통한 선명한 이미지 제시 방법으로써 밝고 경쾌하게 표현하고 있다. 마치 ‘죄죄 / 제 흥을 노래하’는 ‘산새’처럼, ‘송이송이 / 바람과 노’는 ‘살구꽃’ 향기처럼, ‘십리 포구 산 너머’를 향하는 시적 화자의 발걸음은 하늘을 날아오를 듯 가벼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