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의웅 화백의 '금강산' 오픈 스카이 NFT 프리미엄관 에 경매 전시 가져..

  • 등록 2021.09.28 04:01:51
  • 조회수 497
크게보기

평생을 작품에만 몰두 한 노 화백의 화풍은 한마디로 설명하기 어려운 점이 있겠으나, 전시장에는 노 화백이 직접 주제를 단 ‘구름천사’ 작품 30여점으로 그의 화풍에 대해서 대신 설명이 됐다.

e뉴스와이드 김건화 기자 |

 

서울 강남에서 승용차로 약 3시간 30분 거리에 280Km 떨어진 광주 남구 수춘안길에 ‘노의웅미술관’ 이 있다. 개관한 지 3년 되었으나 네비게이션에서 ‘노의웅미술관’ 이라고 치면 바로 검색, 확인되는 장소여서 멀리서도 쉽게 찾아갈 수 있다. 그곳에서 2018년 문을 연 이후 평생을 작품 활동으로 보관해 온 약 3,000점의 작품들을 2개월 주기로 교체 해가며 줄곧 개인 전시만을 해 온 노의웅(78세) 화백을 만나볼 수 있었다. 80을 바라보는 황혼이지만, 얼굴에서는 아직 왕성한 빛을 띄고 동심의 순수한 미소까지 지닌 노신사 였다. 400여평 규모의 부지에 30평 남짓한 전시장과 화백의 작업실, 수장고, 외부 손님을 맞는 사랑방 등의 공간이 마련돼 있다. 평생을 작품에만 몰두 한 노 화백의 화풍은 한마디로 설명하기 어려운 점이 있겠으나, 전시장에는 노 화백이 직접 주제를 단 ‘구름천사’ 작품 30여점으로 그의 화풍에 대해서 대신 설명이 됐다.

 

젊은 시절에는 풍경을 대상으로 한 사실화의 대가로 손 꼽혔으나 작품을 탐구해야 하는 깊은 맛의 한계에 부딪혀서 나만의 화풍을 찾아 독창적인 기법을 연구할 수 밖에 없다는 판단으로 마치 바늘구멍 속을 뚫고 들어가야 하는 몸부림의 깊은 고뇌와 인고의 수련을 겪고 나서야 비로소 유일무이의 ‘명불허전’ 독자적인 화풍을 스스로 증명 했다.

 

유년 시절 아름다웠던 푸른 하늘의 송이송이 뭉개 구름 속에서 양 한 마리와 수풀넝쿨과 같은 만물의 형상을 그려보고 지우고 했던 동심의 상상력이 지금의 ‘구름천사’ 를 가지게 된 원동력이 됐고 노 화백의 추억은 그 속에 녹아 있다.

 

평생을 받쳐 그림을 그려온 노 화백은 단 한 점의 작품도 판매하지 않은 작가로 유명하다. 이 같은 작가로서의 고집이 미술관을 운영하면서도 대관을 하지 않는 철칙을 유지하며 매주 월·화요일은 미술관을 휴관해 왔다.

 

그러나 노 화백에게도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최근 NFT거래소 디지털 아트의 신선한 바람이 노 화백의 아날로그 적인 관념의 벽을 허물게 됐다. 노 화백은 ‘패러다임 시프트’ 이후 주)메타박스의 '오픈스카이' 와 콜라보 전시 판매를 선택했다. 사전협의 후 구름천사’ 작품을 한정수량으로 디지털 아트화 복제하여 오픈스카이(NFT국제 거래소)에 출품 한다.

 

* NFT는 블록체인 기술로 소유권과 거래 이력 등 고유값을 부여한 디지털 자산이다. 디지털 파일로 존재했던 그림이나 영상, 음악 등은 무한한 복제가 가능해 원본의 의미가 크지 않았지만, NFT를 적용하면 실물 자산처럼 '오리지널' 특성이 부여된다. 보증서가 붙은 디지털 자산인 셈이다.

 

(주)메타박스는 오는 10월 6일 오픈스카이(www.open-sky.io) NFT거래소를 오픈하며 국내외 중견 작가들의 수준 높은 디지털 아트를 선보일 예정이다. 카데고리는 크게 프리미엄, 일반, 프리관, 세 파트로 나뉘며 노의웅 화백의 작품들은 프리미엄관 에서 만나볼 수 있다.

 

<주요이력>

- 조선대학교 미술학과 졸업 -조선대학교 대학원 졸업 - 국립현대미술관, 예술의전당 개관초대전 -프랑스르망시청, 파리 중견작가 초대전(5에뚜왈) -일본예술공론상 수상 -한가족5인전(2004), 한가족 6인전(2010) -오치오미술상, 광주시민대상(문화예술 체육부문), 미술대전 심사위원 -세계열린미술대축제 운영위원장 -세계미술연맹 수석부이사장 -호남대학교 예술대학 학장 역임 -전국무등미술대정 운영위원장 -한국미협 고문

김건환 기자 moduirum1@daum.net
Copyright @아임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프로필 사진
김건환 기자

시공간 속의 여러 사건과 사고들은 누군가의 매체에서 전달 된다. 그러나 과연 여러 사슬망과 얽혀 있는 기존 매체의 보도 현실에서 정론을 기대할 수 있을까! 아임뉴스는 이 논점에서 부터 시작하는 SNS 매체로서 인터넷 언론 리딩을 지향한다.


(주)중앙방송 아임뉴스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 32나길 35, 609호
등록번호 : 서울,아53869 | 등록일 : 2021-08-04 | 발행/편집: 김건환 | 전화번호 : 02)6013-6670 | 팩스 : 0504)386-6670
Copyright @아임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