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중국 시장의 특성과 소비자의 니즈를 잘 파악하고, 현지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는 회사 중국 정부의 규제와 정책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안전 심사와 인허가 절차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회사 중국 현지 파트너와의 협력 관계를 잘 구축하고, 합자 투자나 인수 등의 방식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회사 중국의 새로운 마케팅 트렌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Shortform, KOL마케팅, 위챗 미니 프로그램 등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브랜드 인지도와 매출을 높일 수 있는 회사(국가간 전자상거래 포함_중국 역직구) 중국의 기술 발전과 혁신에 기여하고, 자사의 핵심 기술과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고 활용할 수 있는 회사 이러한 회사의 모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중국 시장에 대한 깊은 이해와 연구, 현지의 법률과 규정을 잘 준수하고, 현지 정부와의 협력과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전략, 현지 소비자와의 감성적인 소통과 공감, 중국의 산업 생태계와의 유기적인 상생 등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沈阳美丽渠道国际贸易有限公司(法定代表 金永石, 한국 LK중국법인)는 한국 대표단들과 함께 상기 내용에 걸맞게 움직일 수 있도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誇(자랑할 과): 言(말씀 언)+大(큰 대)+亏(어조사 우) ① 誇矜(과긍): 지나치게 자랑함 ② 誇大(과대): 실제보다 과장해 말함 ③ 誇示(과시): 자랑하여 보임 ④ 誇張(과장): 사실보다 지나치게 나타냄 課(과목 과): 言(말씀 언)+果(열매 과) ① 課目(과목): 할당된 과목 ② 課稅(과세): 세금을 매김 ③ 課試(과시): 시험함 ④ 課業(과업): 배당된 일 過(허물 과): 辶(쉬엄쉬엄 갈 착)+咼(입 삐뚤어질 괘) ① 過客(과객): 지나가는 나그네 ② 過去(과거): 이미 지나간 때 ③ 過去事(과거사): 지나간 일 ④ 過多(과다): 너무 많음 果(열매 과): 나무 위에 열매가 달린 모양의 글자 ① 果敢(과감): 과단성이 있게 일을 함 ② 果斷(과단): 용기있게 결단함 ③ 果木(과목): 과실이 열리는 나무 ④ 果報(과보): 인과응보 준말 科(조목 과): 禾(벼 화)+斗(말 두) ① 科客(과객): 과거 보러 가는 선비 ② 科目(과목): 학문의 구분 ③ 科場(과장): 과거를 보는 곳 ④ 科題(과제): 과거의 제목 郭(성곽 곽): 享(누릴 향)+⻏(고을 읍) ① 郭公(곽공): 꼭두각시 ② 郭內(곽내): 성곽 안 冠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2024년 2월 1일, 새로운 한 해를 시작하며 ㈜더8은 중국 최대의 Shorts위주의 글로벌 플랫폼인 抖音[도우인]의 한국 Creator들을 위한 “TikTok Live Creator Network Party”를 청담동 한 카페에서 열었다. 본 파티에는 200여명의 크리에이터(틱톡 인플루언스)들이 초청되어 상호 관심사와 새로운 교류의 시간을 나누었다.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孔(구멍 공): 孑(구멍 혈)+乙(새 을) ① 孔門(공문): 공자 문하의 제자 ② 孔穴(공혈): 구멍 ③ 孔孟(공맹): 공자와 맹자 攻(칠 공): 工(장인 공)+攵(칠 복) ① 攻擊(공격): 나아가 적을 침 ② 攻掠(공략): 쳐서 빼앗음 ③ 攻略(공략): 남의 땅을 쳐서 빼앗음 ④ 攻防(공방): 공격과 방어 公(공변될 공): 八(여덟 팔)+厶(사사 사) ① 公開(공개): 여러 사람에게 널리 개방함 ② 公告(공고): 널리 세상에 알림 ③ 公共(공공): 사회 일반 ④ 公利(공리): 일반 공중의 이익 共(함께 공): 卄(스물 입)+廾(손 맞잡을 공) ① 共感(공감): 남의 의견이나 논설 따위에 대하여 자기도 그러하다고 느낌 ② 共同(공동): 여러 사람이 일을 같이함 ③ 共謀(공모): 둘 이상이 같이 일을 꾀함 ④ 共用(공용): 서로 함께 사용함 功(공적 공): 工(장인 공)+力(힘 력) ① 功過(공과): 공로와 허물 ② 功德(공덕): 공덕과 덕업 ③ 功勞(공로): 애써 이룬 공적 ④ 功臣(공신): 나라에 공로가 있는 신하 工(장인 공): 목수의 자를 본뜬 글자(천, 지, 인) ① 工具(공구): 공작에 쓰이는 작은 기구의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曲(굽을 곡): 대나무나 싸리로 만든 바구니 모양의 굽은 모양을 본뜬 글자 ① 曲調(곡조): 음악의 가락 ② 曲筆(곡필): 사실을 바른 대로 쓰지 아니하고 왜곡하여 씀 ③ 曲學(곡학): 진리에 어그러진 학문 ④ 曲折(곡절): 순조롭지 아니하게 얽힌 이런저런 복잡한 사정이나 까닭 坤(땅 곤): 土(흙 토)+申(펼 신) ① 坤宮(곤궁): 황후 및 황후의 처소 ② 坤德(곤덕): 대지가 만물을 생육하는 덕 ③ 坤道(곤도): 부인이 지켜야 할 도덕 困(곤할 곤): 囗(나라 국)+木(나무 목) ① 困境(곤경): 곤란한 처지 ② 困窮(곤궁): 몹시 곤란함 ③ 困難(곤란): 생활이 궁핍함 ④ 困辱(곤욕): 괴로움과 모욕을 당함 骨(뼈 골): 冎(뼈 발라낼 과)+月(육달 월) ① 骨格(골격): 뼈의 조직 ② 骨肉(골육): 뼈와 살 ③ 骨子(골자): 중요한 곳 ④ 骨折(골절): 뼈가 부러짐 ⑤ 骨品(골품): 신라 때 있던 혈통상의 계급적 등급 供(이바지할 공): 亻(사람 인)+共(함께 공) ① 供給(공급): 수요에 따라 물품을 제공함 ② 供覽(공람): 관람할 수 있도록 함 ③ 供物(공물): 신불(神佛) 앞에 바치는 제물 恐(두려울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考(상고할 고): 老(늙을 로)+丂(재주 교) ① 考究(고구): 깊이 연구함 ② 考慮(고려): 생각하여 헤아림 ③ 考案(고안): 어떠한 안을 생각하여 냄 ④ 考證(고증): 옛 문헌을 상고하여 증거를 찾아 밝힘 告(알릴 고): 牛(소 우)+口(입 구) ① 告白(고백): 숨김없이 사실대로 말함 ② 告示(고시): 고하여 알림 ③ 告知(고지): 통지하여 알림 古(옛 고): 十(열 십)+口(입 구) ① 古宮(고궁): 옛 궁궐 ② 古今(고금): 옛적과 지금 ③ 古物(고물): 옛 물건 ④ 古色(고색): 오랜 세월을 지낸 모습 苦(쓸 고): 艹(풀 초)+十(열 십)+口(입 구) ① 苦難(고난): 괴로움과 어려움 ② 苦悶(고민): 괴로워서 속을 태움 ③ 苦心(고심): 마음과 힘을 다함 ④ 苦役(고역): 힘드는 일 高(높을 고): 성 위에 높이 세워진 망루를 본뜬 글자 ① 高價(고가): 비싼 가격 ② 高潔(고결): 고상하고 결백함 ③ 高貴(고귀): 신분이 높고 존귀함 ④ 高下(고하): 높고 낮음 哭(울 곡): 口(입 구)+口(입 구)+犬(개 견) ① 哭聲(곡성): 곡하는 소리 ② 哭泣(곡읍): 소리 내어 슬피 욺 ③ 哭臨(곡림):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1월 31일 오전 11시부터 약 30분 동안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장군 동상 앞에서 시민활동가들과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이 참사를 규탄하고 민사소송 2심재판부에 정부책임선고 등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한 뒤, 근처에 있는 SK본사(서린동 99)로 이동하여 약 1시간 동안 집회를 가지면서 “유죄판결이 나고 20일이 지나도록 가해기업들은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라면서 “참사몸통, 원조원죄기업 총수 최태원은 경영자격 없다. 공개사과하고, SK 회장직과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직 등을 즉각 사퇴하라!”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1차 기자회견과 2차 집회 과정에서 “참사로 최소 1,843명이 고귀한 생명을 빼앗겼을 뿐만 아니라 질병유발, 건강 상실 등 약 8천명이 고통을 겪고 있다. 지난 1월 11일 서울고법 형사5부(재판장 서승렬 부장판사 외 안승훈·최문수 부장판사)는 이와 관련된 무죄원심을 파기하고 가해기업 임직원 전원에게 유죄를 선고했다(2021노134). SK 전문경영인 등 관련자 전원이 유죄인데 정부와 가해기업은 무죄인가?”라고 반문하면서 “민사소송 2심 재판부는 정부배상책임을 선고하여 선(先)배상 계기를 만들어 내야만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顧(돌아볼 고): 戶(집 호)+隹(새 추)+頁(머리 혈) ① 顧客(고객): 단골 손님 ② 顧慮(고려): 다시 돌이켜 생각함 ③ 顧命(고명): 임금이 죽을 때 유언으로 뒷일을 부탁함 姑(시어머니 고): 女(계집 녀)+古(옛 고) ① 姑舅(고구): 남편의 부모 ② 姑母(고모): 아버지의 누이 ③ 姑婦(고부): 시어머니와 며느리 ④ 姑息(고식): 우선 당장에 탈 없이 편안함 稿(볏짚 고): 禾(벼 화)+高(높을 고) ① 稿料(고료): 저서 또는 쓴 글에 대한 보수. 원고료(原稿料)의 약어 ② 稿本(고본): 원고를 맨 책 ③ 稿草(고초): 볏집 鼓(북 고): 壴(악기 이름 주)+支(가지 지) ① 鼓動(고동): 북을 울리는 소리 ② 鼓舞(고무): 북을 치면서 춤을 춤 ③ 鼓手(고수): 북을 치는 사람 ④ 鼓吹(고취): 북을 치고 피리를 붐 孤(외로울 고): 子(아들 자)+瓜(오이 과) ① 孤獨(고독): 외로움 ② 孤陋(고루): 견문이 적어서 세상 물정에 어둡고 고집이 셈 ③ 孤立(고립): 의지할 데가 없어 외톨이가 됨 ④ 孤兒(고아): 부모가 없는 아이 庫(창고 고): 广(기슭 엄)+車(수레 차) ① 庫間(고간): 곳집 ②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系(실 계): 실이 이어져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 ① 系譜(계보): 집안의 혈족 관계, 예술의 사제 관계, 불교의 계통 따위를 도표로 나타낸 책 ② 系孫(계손): 혈통이 먼 손자 ③ 系列(계열): 조직적인 차례 繼(이을 계): 糸(실 사)+㡭(이을 계) ① 繼起(계기): 어떤 사물이나 그 사물의 성질이 서로 동시에 현존하지 않으면서 시간적으로 접촉하여 일어남 ② 繼母(계모): 새어머니. 의붓어머니 ③ 繼續(계속): 뒤를 이어 나감 階(계단 계): 阝(언덕 부)+比(견줄 비)+白(흰 백) ① 階級(계급): 층층대, 신분 등의 상하 ② 階段(계단): 층층대 ③ 階層(계층): 차례와 층 鷄(닭 계): 奚(어찌 해)+鳥(새 조) ① 鷄犬(계견): 닭과 개 ② 鷄口(계구): 닭의 입 ③ 鷄卵(계란): 달걀 ④ 鷄肋(계륵): 닭의 갈비는 먹을 것은 없으나 버리기도 아깝다는 말 係(맬 계): 人(사람 인)+系(실 계) ① 係員(계원): 한 계에 딸려 부문의 일을 맡아 분담된 어떤 일을 보는 사람 ② 係長(계장): 관청이나 회사의 한 계의 책임자 界(지경 계): 田(밭 전)+介(낄 개) ① 界面(계면): 두 가지 사물의 경계의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繫(이을 계): 車(수레 차)+殳(창 수)+糸(실 사) ① 繫留(계류): 붙들어 매거나 붙잡아 매여 놓음 啓(일깨울 계): 戶(집 호)+攵(칠 복)+口(입 구) ① 啓導(계도): 깨우치어 지도함 ② 啓蒙(계몽): 우매한 사람을 가르쳐 지식을 넓혀 줌 ③ 啓發(계발): 뜻을 열어 줌 ④ 啓示(계시): 신이 사람의 마음의 무지를 열어 진리를 고시하는 것 契(맺을 계): 丰(예쁠 봉)+刀(칼 도)+大(큰 대) ① 契機(계기): 어떠한 일이 일어나거나 결정되는 근거나 기회 ② 契約(계약): 사람과 사람 사이의 약속 ③ 契員(계원): 같은 계를 조직한 사람 桂(계수나무 계): 木(나무 목)+土(흙 토)+土(흙 토) ① 桂皮(계피): 계수나무 껍질 械(틀 계): 木(나무 목)+廾(받들 공)+戈(창 과) ① 계기(械機): 기계나 기구 溪(시내 계): 氵(물 수)+奚(어찌 해) ① 溪谷(계곡): 물이 흐르는 산골짜기 ② 溪流(계류): 산골짜기에서 흐르는 냇물 ③ 溪邊(계변): 산골 시냇물 가 季(계절 계): 禾(벼 화)+子(아들 자) ① 季刊(계간): 춘하추동으로 나누어 네 번 간행함 ② 季嫂(계수): 아우의 아내 ③ 季節(계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