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1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교육일반

수능 수험생을 위한 현대시 특강

현대시 주제별 정리(2)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현대시 주제별 정리(2)

 

■ 역사적 반성

 

□ 한용운 - 논개의 애인이 되어 그의 묘에

* 논개에 대한 예찬과 역사적, 실천적 삶의 다짐

* '-ㅂ니다' : 추모적. '-ㄴ다' : 단정적(역사적 장면 회고 부분). '-여' : 예찬적

* 과거의 사실을 현재형으로 표현

* 역설적 표현 : '날과 밤으로 흐르고 흐르는 남강은 가지 않습니다'(비극적 역사의 현장은 그대로    임). '바람과 비에 우두커니 섰는 촉석루는 살 길은 / 광음을 따라서 달음질칩니다.'(역사적 의미    가 많이 사라져감)

 

□ 조지훈 - 봉황수

* 퇴락한 고궁의 옥좌 앞에서 왕조의 몰락과 주권의 상실을 회고하면서 비극적인 역사에 대한      슬픔을 노래(조국애와 역사 의식이 낭만적 성향과 함께 드러남)

* 선경후정(先景後情)의 전개

* 나라를 패망하게 만든 상징적 존재 : 벌레, 산새, 비둘기, 거미줄

 

■ 부정 불의에 저항하는 목소리

 

□ 김소월 -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

* 현실의 암담함과 어둠(평화로운 삶으로서 꿈 속 상황) → 현실 극복의 의지

 

□ 이육사 - 교목

* 극한 상황에 굴하지 않는 꿋꿋한 의지, 삶을 포기하면서까지 자신의 의지를 지키고자 하는 결      의

* 각 연을 부정어로 종결 → 강인한 저항 의지, 치열한 저항 정신

* 지상(부정적 세계) → [교목 : 치열한 저항 의식] → 하늘(긍정적 세계)

 

□ 심훈 - 그 날이 오면

* 민족 해방에 대한 간절한 갈망

* 지나치게 격렬한 감정에 지배되어 시적 균형을 상실 → 이육사의 '광야'에 담긴 지사적 기풍으로 승화하지 못함. 대신에 직접적인 행동의 모습을 통해 희생적 저항 정신을 보여 줌

* '인경' : 역사와 민족이 부활하는 소리(조국 광복을 알리는 소리)

 

□ 김영랑 - 독을 차고

* 시대적 상황에 대한 서정적 자아의 분노와 그것에 대한 저항 의지

* '나는 독을 차고 선선히 가리라. / 막음 날 내 외로운 혼을 건지기 위하여.' : 허무주의와 일제의       탄압에 대한 항거인 동시에 시인 자신의 내면적 순결을 지키려는 의지

 

■ 지성의 추구와 존재의 탐구

 

□ 김광균 - 외인촌

* 도시인의 고독과 우수(憂愁)

* 장면 묘사(풍경화를 보는 듯한 시각적 묘사)에 치중할 뿐 서정이 거의 배제 → 이미지즘(주지주   의)

*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상 전개

* '분수처럼 흩어지는 푸른 종소리' : 공감각적 표현(청각의 시각화)으로 비약과 확산의 이미지를     드러냄

 

□ 김광균 - 와사등

* 현대인의 고독감과 불안 의식(군중 속의 고독). 도시 문명에 대한 현대인의 절망과 비애

* '차단한'(차다 + ㄴ한) : 찬, 차가운(촉각 + 시각)

* '비인 하늘' : 나의 방향 상실감

* '기일게 늘인 그림자' : 고독의 형상화

* '등불' : 서정적 자아의 내면을 비춰 주는 매개적 존재일 뿐 방향이나 목적 의식을 제시 못 함

 

□ 김광균 - 추일서정

* 가을날의 쓸쓸한 풍경과 문명 속의 고독감을 시각적 비유와 감각적 시어로 그림

* '낙엽'(생명이 다한 자연의 모습) = '망명 정부의 지폐'(유통의 의미를 상실한 화폐) → 상실, 죽     음,  소멸의 심상

 

□ 김춘수 - 꽃

* 존재의 본질 구현에 대한 소망(진실된 관계의 소망)

* '몸짓'(인식 이전의 사물) → [명명] → '꽃', '무엇', '눈짓'(의미 있는 존재)

* '나'와 '그'의 관계 : 서로의 본질을 인식하고 구현하는 주체이면서 객체임

* 이 작품에서는 인식의 주체인 '나'는 객체인 '너'를 인식함으로써 그것은 의미 있는 존재로 드러나는 데 비해, 김춘수의 다른 시 '꽃을 위한 서시'에서 '나'는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고자 해도 '너'는 본질적인 의미를 드러내지 않음

 

□ 이형기 - 폭포

* 존재에 대한 비극적 인식(폭포에 내재된 삶의 치열성, 전율), 자연 현상을 내적 체험을 바탕으로 주관의 비극적 정서를 드러냄

* 김수영의 '폭포'가 준열한 정신적 높이의 표상(지사적, 사회적 성격)인데 반해 이 시는 순전히 자신만의 삶을 치열히 살아가는 존재(개인적 삶의 태도)

 

□ 신동집 - 오렌지

* 존재론적 관점에서 사물의 내용적 의미를 추구하려는 매우 지적인 시(존재의 진정한 의미 추   구)

* '한없이 어진 그림자가 비치고 있다.' : 사물의 본질 규명은 못했으나 아직 가능성은 남아 있음

 

■ 내면 세계

 

□ 이상 - 거울

* 현대인이 겪고 있는 자아의 분열 현상(자아와 자의식의 분열)

* 초현실주의 기법(자동기술법, 기존 형식의 부정, 띄어쓰기 무시)

* 거울의 이중성 : 참된 나를 만나게 해 주는 통로이면서 그것으로 단절을 경험하게 하는 사물

* 거울 속의 자아 : 자신이 바라고, 그렇게 되어야 하는 이상 속의 자아

* 거울 밖의 자아 : 현실을 살아가는 무능력한 자아의 모습

 

□ 정한모 - 가을에

* 현대 문명으로 인한 인간성 상실과 그 회복의 추구

*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한 기도조의 시(현대의 비인간화와 절망 속에서, 생명에의 신뢰와 사랑을     지키게 해 달라는 간절한 소망을 노래)

* 공포와 순수의 대립 구조

* '커다란 세계' : 물질 문명의 세계(해저, 추락, 속력, 공포)

* '무서운 진리' : 현대의 반문명적 현실

 

□ 김현승 - 가을의 기도

* 가을의 고독과 기도를 통한 경건한 삶에의 가치 추구

* '굽이치는 바다' : 번뇌와 고난으로 얼룩진 삶

* '백합의 골짜기' : 순결하고 영적인 삶의 자세

* '마른 나뭇가지 위에 다다른 까마귀같이.' : 세상과 절연된, 시적 화자가 마지막으로 도달한 절   대 고독의 경지

 

□ 김남조 - 정념의 기

* 순수한 삶에 대한 열망과 종교적 희원(希願)

* 마음 속에 움직이는 갈등, 번민을 넘어서서 영혼의 순수함과 평화를 얻고자 하는 소망을 노래

* 바탕 정서 : 인간 존재에 대한 인식에서 보는 애수와 비애

* '하얀 모래벌 같은 마음씨의 / 벗은 없을까.' : 초월적 존재에 대한 희구(希求)

* '한 폭의 기' : 화자가 깨달을 얻은 후의 모습

 

□ 김남조 - 겨울 바다

* 사랑의 아픔을 인고의 자세로 극복하는 성숙함

* 인식의 변화 : 허무의 불(소멸) → 겨울 바다(절망과 희망의 분기점, 깨달음의 공간) → 인고의     물  (생성)

* '허무의 불' ↔ '인고의 물' : 대립적 심상

 

□ 김남조 - 설일

* 신의 섭리로 고독을 극복하고 너그러운 삶을 다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