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5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교육일반

한국 현대시 400선 이해와 감상

10. 방랑(放浪)의 마음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10. 방랑(放浪)의 마음

 

흐름 위에

보금자리 친

오 ― 흐름 위에

보금자리 친

나의 혼(魂)…….

 

바다 없는 곳에서

바다를 연모(戀慕)하는 나머지에

눈을 감고 마음 속에

바다를 그려 보다

가만히 앉아서 때를 잃고……

 

옛 성 위에 발돋움하고

들 너머 산 너머 보이는 듯 마는 듯

어릿거리는 바다를 바라보다

해 지는 줄도 모르고 ―

 

바다를 마음에 불러 일으켜

가만히 응시하고 있으면

깊은 바닷소리

나의 피의 조류(潮流)를 통하여 오도다.

 

망망(茫茫)한 푸른 해원(海原) ―

마음 눈에 펴서 열리는 때에

안개 같은 바다와 향기

코에 서리도다.

 

(『동명』 18호, 1923.1)

 

 

<이해와 감상>

 

 하루 200개비의 줄담배를 피우며 일생을 독신으로 외롭게 살다 세상을 떠난 공초(空超) 오상순은 변영로와 함께 『폐허』 동인 활동을 하면서 기독교를 버리고 입산과 환속을 거듭하는 등 숱한 기행(奇行)으로 화제를 뿌렸던 시인이다. 그는 평생을 이 작품의 제목처럼 ‘방랑의 마음’으로 전국을 떠돌며 일제 식민지 치하의 삶을 ‘허무와 세속에의 일탈(逸脫)’로 영위하려 하였다.

 

 이 작품은 일제 치하라는 현실의 질곡(桎梏)을 벗어난 이상향을 그리워하며 정처없이 떠도는 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그 곳은 ‘망망한 푸른 해원’으로 ‘눈을 감고 마음 속에’ 그리는 바다일 뿐이다. 즉 현실의 바다라기보다는 시인의 이상 속에 존재하는 바다요, 현실의 모든 고뇌로부터 떠난 자유와 안식의 바다이다. 그렇기 때문에 ‘가만히 응시하고 있으면 / 깊은 바닷소리’는 내 몸 속으로 ‘피의 조류를 통하여 오’지만, 그 곳으로 갈 수 있었던 ‘때를 잃고’, 다만 끝없는 그리움으로 ‘해 지는 줄도 모르고’ ‘발돋움하고 / 바다를 바라보’는 것이다.

 

 ‘옛 성 위에 발돋움하고’ 바라보는 그 바다는 시인이 식민지라는 민족적 고통을 안고 꿈꾸는 곳으로, 결국 일제로부터 해방된 조국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암울한 시대 상황 속에서 젊은 시인의 ‘흐름 위에 / 보금자리 친’ 영혼이 그리워할 수 있는 곳은 아마도 마음 속에만 존재하는 ‘푸른 해원’과 같은 곳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