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윤석열이 서울중앙지검장을 하고 검찰총장을 하면서 그의 권력 욕망은 수사권 기소권 독점 남용으로 선택수사, 선택기소로 정부 기능을 마비시켜 나갔다. 여기에는 그의 언론플레이 능력이 주효했고 친 윤석열 편에서 기사를 쓴 기자들이 윤석열 다단계 쿠데타를 못 본 척 눈 감으면서 “추-윤 갈등” 등으로 윤석열의 하극상을 희석화, 윤석열의 권력욕구와 정치욕망을 부채질한 한겨레신문 기자들도 몇 있다.
한겨레신문 법조 검찰 출입기자를 지냈고 정치사회부에디터를 한 석진환 기자의 이 기사가 그런 류의 기사다. 본문 일부를 옮겨온다.
“추미애 장관이 행사한 수사지휘권, 인사권, 감찰권은 대부분 윤석열 총장을 겨냥한 것이었다. 우리가 늘 검찰의 과도한 검찰권 행사를 경계하고 비판하듯이, 장관의 권한도 적절한 민주적 통제를 위해 절제된 수준에서 신중하게 행사돼야 한다. 추 장관은 그런 평가를 받고 있지 못하다. 총장을 불신하고, 의심하고, 고립시키려다 보니 장관의 지시가 점점 과해지고 남발되고 있다.
오죽하면 여권에서조차 “장관이 윤 총장을 활용해 자기 정치를 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겠는가. 1년 가까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윤 총장을 타격했는데, 결과는 어떤가. 손에 잡히는 것은 없고, 역으로 윤 총장의 체급만 키워줬다는 지적을 가볍게 흘려서는 안 된다. 검찰개혁을 위해 갈 길이 먼데, 엉뚱한 곳에 판을 벌여 국민들 짜증만 돋우고 있는 게 아닌지 추 장관과 청와대는 심각하게 생각해야 한다. 상대를 통해 자신의 존재감을 부각하는 적대적 공생의 고리는 끊어버리는 게 맞다.”
(중략)
“윤 총장도 되도록 빨리 결단을 하는 게 좋을 것 같다. 공개적으로 그 정도 발언을 했으니, 총장으로서 앞으로 무얼 하더라도 정치적 해석과 논란에서 벗어날 수 없다. 윤 총장이 사랑하는 검찰 조직에는 치명상이다. 스스로 “식물총장”이라 선언한 마당에 외풍으로부터 홀로 검찰 조직을 지켜내겠다는 결기는 민망하다. 윤 총장은 임기와 관련해 “국민과 약속이니 소임을 다하겠다”고 했지만, 상황이 이 지경인 만큼 무책임하다고 비난할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중략)
“돌이켜보면 이 사달의 시작이 ‘조국 수사’였다는 점이 윤 총장의 결단에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윤 총장이 결단한다면 이후 행보는 전임 총장들보다는 훨씬 자유롭다. 정치에 나서는 게 자연스럽도록 명분을 쌓아준 건 여권이다. 거물 정치인이 되어 평소 지론인 ‘경제 정의’를 검찰에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해볼 수도 있다. 정치판에서는 얼마든지 추 장관과 격하게 싸우고 부딪쳐도 된다. 누가 뭐라 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