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조산하 청사진에 역행하는 역사의 반동과 검찰 개혁!
e뉴스와이드 김건화 칼럼리스트 기자 | 연일 봇물 터지듯이 여기저기서 터져 나온 사회적인 이슈의 고공 행진 시절인 만큼 선거철의 단골 메뉴에 언제나 부화뇌동으로 답 해주는 대중은 항상 저들의 먹이감이 되기 일수다. 첨예한 대립각의 승자독식 양당체제가 낳은 병폐가 한몫한 탓도 있겠지만, 개혁을 부르 짖으면서 인적 청산을 소월히 했던 청와대와 집권 여당의 나이브한 탓의 문제가 촛불 혁명으로 이어진 재조산하개혁 청사진에 역행하는 역사의 반동을 더 키운 셈이다. 이에 지역 신문 '굿모닝충청'의 기획 대담에서 밝힌 역사학자 전우용 교수의 생각과 더불어 최근 'SNS'에 포스팅 한 촌철살인이 더욱 빛나 보이는 순간이다. 해당 매체에서 개혁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 묻고 전교수는 담담하게 토로했다.! "개혁에는 인적 청산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미 관료사회에 편승해 있는 사람들의 이익을 보장해 주지 않으면 개혁에는 한계가 있다. 즉, 한 사람의 수장이 바뀐다 하더라도 조직적인 관료 사회 전체의 개혁을 기대하기에는 어렵다. 조국 전 장관의 사태는 이러한 개혁에 집단 반발하는 관료사회에 편승한 기득권 세력들의 조직적인 저항을 보여주었다. 개혁은 인적 청산에서 시작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