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7 (금)

  • 맑음동두천 -8.8℃
  • 맑음강릉 -4.0℃
  • 맑음서울 -8.2℃
  • 구름조금대전 -7.4℃
  • 구름많음대구 -5.2℃
  • 구름조금울산 -4.9℃
  • 광주 -5.6℃
  • 맑음부산 -3.0℃
  • 흐림고창 -6.9℃
  • 제주 -0.6℃
  • 맑음강화 -9.5℃
  • 흐림보은 -8.5℃
  • 흐림금산 -8.0℃
  • 흐림강진군 -3.7℃
  • 구름많음경주시 -5.0℃
  • 맑음거제 -2.5℃
기상청 제공

사회일반

전주한옥마을에 위치한 동학혁명기념관에 겨울방학맞이 방문 활발

동학혁명기념관, 겨울방학 맞이하여 답사인원 많아졌다.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시민 기자단! |

 

 

 

전주한옥마을에 위치한 동학혁명기념관에 겨울방학을 맞이하여 학생들은 물론 가족단위, 단체방문 등 답사인원이 많아졌다. 여기에는 12월 27일 ‘전라남도교육청 여학생가정형wee센터(단장 김춘식)’의 단체방문과, 일본 ‘동경순심대학 현대문화학부 오오타케키요미 교수’의 개인방문이 있었다.

 

12월 27일 오전, 전라남도교육청 여학생가정형wee센터에서 동학혁명기념관을 단체 방문하였다. 이윤영 동학혁명기념관장(동학민족통일회 공동의장)은 동학사상과 동학혁명에 대한 전반적인 해설은 물론 전라남도와 동학농민혁명에 대해 강의하였다.

 

제2차 동학농민혁명 즉 일본 침략군과의 최후항쟁에 있어 장흥·강진 일대의 동학의병은 동학대접주 이방언 장군의 지휘를 받았다. 이방언 장군은 제1차 동학농민혁명 때, 장흥의 이인환과 강봉수, 강진의 김병태, 해남의 기도일, 영암의 신성 등과 함께 혁명에 적극 참여하였다. 그러나 2차혁명 즉 우금치 전투를 중심으로 한 항일전쟁 때에는 강진의 전라병영과 장흥부의 관군을 견제하기 위해 참여하지 못했다. 우금치 패전 후 후퇴를 거듭한 전봉준·손병희 동학의병 주력부대가 전주성을 거쳐 원평, 태인 전투 후에 전봉준 부대는 해산하고 손병희 부대는 임실 등을 거치며 충청도로 회군하였다.

 

이때 이방언 장군은 항일의병의 기포를 선언하고 통문을 돌리자 남평, 보성, 능주, 화순과 손화중·최경선 부대가 광주에서 해산 후 흩어지지 않은 동학군들도 합류하였다. 또한 김제금구 김방서 장군 등 수많은 동학군들이 모여들자 일거에 3만 명으로 불어났다. 일본 침략군에 맞선 동학의병 기포가 다시 시작된 것이다.(중략)

 

전라남도 일대 동학의병들은 12월 3일(양.12.29)부터 벽사역 점령, 장흥부성 점령, 강진현 점령, 간진병영 점령 등 쾌거를 이룬다. 이에 맞서 일본군 특수부대(후비보병 19대대)미나미고시로 대대장을 중심으로, 조선 이두황 부대 등 경군을 이끌고 장흥 석대벌 전투가 시작된다. 결국 석대벌 전투는 최신식 대포, 기관포, 자동소총 등으로 무장한 일본군과 조선군에게 수많은 동학의병들은 처참한 시산혈해의 죽음을 맞이한다.

 

이때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동학의병들은 후퇴를 거듭하면서 최후 항쟁을 이어가면서 천관산 끝자락과 바다 쪽으로 몰렸다. 또한 대흥(대덕) 등지의 육지와 바다에서 집단 학살을 당했으며, 일본 군함 2척이 동원된 수몰작전은 마치 짐승을 사냥하듯 반인류적인 섬멸작전을 자행하였다. 장흥을 중심으로 한 동학의병은 12월 말에 완전 해산했으며, 일본군과 관군에 의한 보복 학살은 겨울 내내 이어졌다. 이윤영 관장의 강의가 끝나자, 질문을 받는다는 말에도 학생들은 침묵으로 묻고 답하는 숙연한 분위기가 연출되었다.

 

 

오오타케키요미 교수는, 이윤영 동학혁명기념관장(동학민족통일회 공동의장)이 전남교육청 여학생가정형wee센터의 단체 설명 때 처음부터 해설 및 강의를 다 들었다. 이 관장은 처음에는 광주 단체와 같은 일행으로 생각했다고 한다. 광주 단체가 기념관을 나가자, 오오타케 교수는 가까이와 인사를 건넸다. 그때 광주 단체 일행이 아니고 이 관장에게 볼일이 있어 왔다는 것을 알았다. 이 관장은 약간 미안한 표정으로 ‘일본 침략행위와 학살 등의 강의가 어떠냐?’고 묻자, ‘그렇게 자세히 알지는 못하지만 일본인으로서 참회와 반성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오타케키요미 교수는 ‘한국의 어린이 운동의 선구자 방정환 선생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본 기념관에 어린이 잡지 원본이 3권 전시된 것을 보고 깜짝 놀랐으며, 처음으로 원본을 보았다.’고 하였다. 이윤영 관장은 오오타케키요미 교수에게 방정환 선생의 일화와 어린이 운동, 어린이날 제정, 어린이 잡지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소파 방정환 선생은 동학·천도교 3세교조 의암 손병희 선생의(셋째 딸 손용화) 셋째 사위로서 천도교에서 어떤 과정을 거치며 어린이 운동을 하였는지 설명하였다. 동학·천도교 2세교조 해월 최시형 선생께서 ‘어린이를 때리지 말라, 어린이를 때리는 것은 한울님을 때리는 것이요, 어린이가 아파 우는 것은 한울님이 아파 우는 것이다.’ 등의 어린이 존중사상을 자세히 설명했다. 앞으로 이윤영 관장과 오오타케키요미 교수는 교류 및 배움을 갖기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