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아우마당 30주년 신춘 교류회, 사교와 아시아문화교류를 넘보다.

아우마당(아시아는 우리마당), 민간문화교류의 선봉

아임뉴스-우리가 언론이다. 나도 기자단! |

광명개천 시대, 동학서진의 문명사는 서구의 개화를 앞당겼고 서구의 개화는 산업혁명을 앞당겨 한동안 서학동진이 주류가 되었던바, 그럼에도 서구 문명이 서학동진을 할 만큼 동양 개화기의 꽃은 피웠으나 삼라만상 물극필반의 이치를 피해가지 못한 듯, 열매를 맺지 못하였으니 씨를 얻지 못하였고 뿌리를 찾을 수 밖에 없는 한계에 부딪쳐 이제는 다시 동학서진을 요구하는 시절이다.

 

그러나 이때에 우리의 역사의식은 강단사학계의 일본실증사관에 가로막혀 역사를 잊고 뿌리를 망각한체 씨없는 열매를 쫒고 있는 꼴이되고 말았다.

 

그런 가운데 세계는 무려 9,000년 전 유라시아 알타이어족(트랜스유라시아어)의 뿌리가 동이족이었음을 인정하는 '네이처' 국제학술지 논문에 이목이 집중되는가 하면, 이미 1980년대 미국의 동양미술사학자 존 카터 코벨의 '인류의 기원은 한국인' 이라는 유네스코 발표에서부터 주목되기 시작했다.

 

이렇듯 세계는 한국의 문화를 그토록 찬양하나 우리가 우리것을 모르니 오히려 그들에게서 거꾸로 배우고 있는 지경인바, 이러한 시기에 아우마당(아시아는 우리마당)이 민간문화교류의 선봉으로 우리것 우리마당을 펼쳐냄으로서 동양의 문화가 그들에게 스승이 되고 문명의 뿌리를 찾는 원시반본 역사의 흐름을 이제 우리는 그들에게서 읽어내고 있다.

프로필 사진
김건화 기자

시공간 속에서 벌어지는 여러 사건과 사고들이 드러나는 현상은 누군가의 매개체에서 전달 된다. 그러므로 현실은 기득권 자의 아전인수에 의해서 진실과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가 많다. 과연 여러 사슬망과 얽혀 있는 기존 매체의 보도 현실에서 정론을 기대할 수 있을까! 아임뉴스는 이 관점에서 부터 시작하는 SNS 매체로서 인터넷 언론 리딩을 지향한다.